
[일본은 왜 원전을 멈추지 않는가]낭독(2)
낭독: 여성환경연대 강우정 활동가
무서운 것은 이 해양 방류가 ’배출 작업의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몇 명의 원자력 추진 전문가들이 ”이 정도를 처리하지 못 한다면 앞으로 더는 나아갈 수 없다“, 방사선량이 더 높은 폐기물이 산적해 있다”고 말한다. 전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 다나카 슌이치씨는 “삼중수소 배수는 후쿠시마 1원전 리스 크에서 제일 작은 것이다. 이런 것을 못한다면 폐로 프로세스를 밟을 수 없다.”라고 프라임 뉴스에서 말했다. 물은 무너진 원
자로 안에서 녹아내린 핵연료에 닿아 오염수를 증가시키고 있다. 오염수에는 세슘137, 플루토늄239, 스트론튬90, 요오드129를 비롯해 다양한 방사성물질이 포함된다. 통상적인 원전 배수에는 기본적으로 삼중수소밖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후쿠시마 오염수는 전혀 다른 차원의 액체 폐기물이라 할 수 있다. 이 무너진 원자로에 끊임없이 유입되는 물을 막을 수단은 아직 없다. 오염수는 정부가 엉성하게 추진해온 원자력 정책의 대가이다. 하지만 정부가 우리 들에게 그 대가와 리스크를 전가하는 것도 아직 시작에 불과하다.
물 다음은 흙이다.
정부는 제염작업으로 제거한 오염 토양을 전국에서 이용하는 방침을 결정했다. 원전 사고로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공기중에 퍼져서 논밭과 주택 등을 광범위하게 오염시켰다. 작업자가 봉지에 담은 흙은 후쿠시마현 내에서 (귀환곤란구역 제외) 1,400만 제곱미터에 이른다. 그 오염된 토양을 보관할 곳이 없다며 일본정부는 전국 농지 와 도로 정비 등에 사용하려 하고 있다. 방사성 물질 취급의 기본 은 가두는 것이다. 그런데도 한 번 가둔 흙을 봉지에서 일부러 꺼내서 사용하겠다는 말이다. 오염 토양을 땅에 깔고 그 위에 오염되지 않은 흙을 높이 약 50cm 정도 덮는다. 삿포로 출신 50대 한 노동자는 예전에 후쿠시마현의 강둑과 주택가에서 오염된 흙을 모아서 봉지에 담고 트럭에 담는 제염작업 에 종사했다. 방사선 선량계를 차고 다니는 피폭노동이었다. 그 오염 토양을 봉지에서 다시 꺼내 사용하는 것에 대해 그는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이라 생각해서 피폭을 감수하면서까지 작업했는데, 우리가 한 일은 무엇이었을까요?”
정부는 오염 토양을 제염토양’이라고 부르고 있다. 언론보도에서도 ‘제염토라는 표현이 눈에 띈다. 나는 환경성 간부에게 “제염토라고 하면 깨끗해진 토양 같지 않아요? 오염토가 맞죠? 오염된 그대로 인...”이라고 물었다. 그는 쓴 웃음을 지으며 “오염토라고 하면 이미지가 좋지 않죠. 그쪽(언론)에서 오염토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 말하지 않겠습니다만..”이라고 대답했다. 인터넷 등에서 오 염토는 사실과 다른 호칭’이라며 비판하는 글이 올라오기 시작했 다. 해양 방류하고 있는 액체 방사성 폐기물을 ‘오염수‘라고 부르면 비판받듯이 ’오염토‘라는 표현 또한 비아냥거리가 된다. 사실을 사실대로 전달할 수 없고 또 전달해서도 안 된다고 강요받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언제까지 이 대가를 치러야 할까.
도쿄전력과 일본 정부가 손을 맞잡고 원전을 추진하고 ’원자력 마을(핵 마피아) 사람들이 안전 규제를 엉성하게 한 대가로 후쿠시마 사고가 일어났다. 그런데도 정부는 도쿄전력의 ‘오염자 부담 원칙’을 무시하고 사고 처리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일본 국민에게 전가했다. 왜 그렇게까지 정부는 도쿄전력을 두둔할까? 이탈리아 물리학자 안젤로 발라카 씨는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이렇게 호소했다.
“중대한 사고가 일어났을 때 전력회사의 부담은 일정액을 넘으 면 면책됩니다. 이것은 원전 비용을 외부로 전가하는 하나의 속임 수입니다. 아주 부도덕한 일이지요. 현재 일본에서는 안타깝게도 이런 생생하고도 극적인 사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사고로 생긴 도쿄전력의 부담액은 면제되었고 그것을 대신 지불하는 것은 일본 국민입니다. 이 사실만으로도 일본 국민들이 모두 원자력 에너지 포기를 요구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정부는 위험한 원전을 추진해 온 대가를 국민에게 전가했다.
게다가 사고 발생 불과 12년 후 다시 원전을 활용하는 것으로 돌아 섰다. 원전의 최대 과제라 할 수 있는 핵쓰레기 처분장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채로 말이다.